금성대군 신단(錦城大君神壇 )을 찾아

2,796 2017.01.10 22:53

짧은주소

본문

단종(端宗) 복위 운동의 성지(聖地), 

‘금성대군 신단(錦城大君神壇 )’을 찾아

 

     이 문 학 / 봉화군 前 공무원

 

0042d72a43bd1a8c32f79f2a3552c47d_1484980982_1132.jpg
 

필자가 살고 있는 경북 봉화에서는 지척에 두고 한 번 찾아 배알 한다는 마음은 일찍이 갖고 있었으면서 진작 찾아 배례 올리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128년 만에 있었던 학맥계승을 위한 사마 선비과정의 수학을 위해 영주 소수서원에 갔다가 지난 해 어느 쪽빛 하늘의 화창한 늦은 가을날 역사의 현장 금성대군의 신단(錦城大君神壇 ; 일명 錦城壇)을 찾아 두루 살펴보게 되었다.

이 곳 금성대군 신단은,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70번지에 소재하고 예전 순흥면은 본래 고구려 때 급벌산군(及伐山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이 급산군(岌山郡)으로 고쳐 삭주(朔州)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흥주(興州)로 이름을 바꾸었고, 1018년(현종 9)안동부(安東府)의 임내(任內)로 한 뒤 순안현(順安縣)으로 이속하였다.

지난 1172년(명종 2) 처음으로 감무를 두었고, 충렬왕 때 흥녕현령(興寧縣令)으로 승격하였다. 충숙왕 때 다시 지흥주사(知興州事)로 승격하였고, 충목왕 때 순흥부(順興府)로 승격하였다. 다시 지난 1413년(태종 13) 도호부로 바꾸었으나, 1457년(세조 3)금성대군(錦城大君)과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의 단종 복위 사건으로 도호부를 혁파하여 그 영역을 인근의 군현으로 분산시켰다. 1683년(숙종 9)순흥 도호부로 복설되었고, 1829년(순조 29) 일시 강등되어 현감을 둔 일이 있었다.

그 후 1895년(고종 32) 안동부의 순흥군이 되었다가, 다음해 경상북도의 군(郡)이 되었고,  지난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영주군으로 편입되었다가 지난 1980년 영주시로 승격되면서 영풍군의 관할이 되었다. 다시 1995년 영주시와 영풍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영주시가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순흥 도호부는 세 곳에 월경처(越境處)를 갖고 있었다. 소백산맥의 죽령(竹嶺)이 있는 창락(昌樂)은 창락도(昌樂道)의 찰방이 있는 역으로 10개 역을 관할하였다. 영천(榮川, 현 영주) 관내에 대룡산 부곡(部曲), 봉화 북쪽에 있는 와단면(臥丹面)에 지림사(智林寺)가 있었다.

이곳 금성대군 신단은, ‘조선 세조 2년 (1456)에 성삼문 등 사육신의 단종 복위운동에 연루되어 순흥에 위리 안치되어 있던 세종 여섯 째 아들 금성대군이 순흥부 이보흠 및 향중 유림과 더불어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실패하여 순절하자 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마련된 제단이다.’ 단종 복위운동이 실패되자 순흥부는 폐부되었다. 그 후 숙종 9년(1683) 순흥부가 복원되고 순절 의사들이 신원 되자 동와 45년(1719)에 부사 이명희가 단소를 설치하였으며, 영조18년(1742) 경상감사 심성희가 단소를 정비하고 위를 모시고 순의비를 세워 매년 봄·가을로 향사를 지내오고 있다. 이어 금성대군 신단이 들어선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금성대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금성대군은 1426년(세종 8년) 3월 28일, 세종과 소헌 왕후 사이에서 왕자 이유(李瑜)가 태어났다. 세종의 적자들 중 여섯째로, 1433년(세종 15년)에 금성대군(錦城大君)으로 봉해진다.

 

지난 1437년에는 세종은 1차 왕자의 난 때 죽은 방번과 방석의 후사를 잇게 하려고 자신의 아들들을 양자로 입적시켜주는데, 광평대군이 방번, 금성대군이 방석의 양자가 되어 그들의 제사를 모시게 된다.

세종은 아들들을 아끼고 신임하여 세자 이외의 왕자들에게도 공무를 맡긴 일이 많았는데, 금성대군도 화포발사시험에 참가하는 등의 일을 수행하였다. 이때는 형 진양대군, 훗날 수양대군으로 군호를 바꾸고 조선의 7대 국왕 세조로 즉위하는 둘째 형과 함께 참가하기도 했다.

 보통 때 같았으면 금성대군은 평범한 왕족으로 부족한 거 없이 살다 죽었을 것이다. 하지만 정국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다. 세종과 문종이 승하하면서, 어린 임금 단종이 즉위한 상황에서 야심 많은 종친 수양대군은 위협적인 존재였다. 결국 수양대군은 계유정난을 통하여 반대파인 김종서, 황보인 등의 대신은 물론 친동생 안평대군까지 제거하여 실권을 장악한다.

이징옥의 난도 실패로 끝나면서 쿠데타의 주역 수양대군은 자신에게 반대할 힘을 가진 대신은 대부분 제거하고, 백부 양녕대군이 수양을 지지하는 것을 비롯하여 친형제와 이복형제 등 수많은 종친들도 그를 지지하여 정권 기반을 충실히 다져갔다. 하지만 모든 종친들이 수양대군을 지지하는 건 아니었다.

계유정난 이후 반수양 종친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인물은 금성대군이었다. 그는 세종의 적자이기도 하지만, 방석의 양자로 입적되어 촌수 상으로는 수양의 숙부뻘이기도 했기 때문에 그에게 맞설 종친으로 부각되었다. 당연히 수양 세력도 금성대군을 경계하였다.

세종의 후궁인 신빈 김씨의 아들 계양군이 수양대군에게 “수춘군(壽春君)과 익현군(翼峴君)이 말하기를, ‘금성 대군(錦城大君)이 화의군(和義君)에게 면포(錦布) 3백 필(匹)을 주고, 또 전의위(全義尉)에게 활 3벌[張]을 주었다.’고 하며, 그리고 영양위(寧陽尉)가 말하기를, ‘문종(文宗)의 상(喪)이 있을 때 안평 대군(安平大君)과 금성 대군(錦城大君)·화의군(和義君)·의창군(義昌君) 등이 풍악을 울리며 연회를 베풀었다. 고 하니, 이 같은 일을 차마 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을 차마 못하겠습니까? 또 정난(靖難)하던 날에 금성 대군이 임영대군(臨瀛大君)에게 말하기를, ‘안평 대군에게 고(告)해야 한다.’고 하였으니, 이는 모두 의심할 만합니다.”라고 말하는 걸 시작으로 금성대군에 대한 경계가 강화된다.

결국 지난 1455년(단종 3년) 2월, 화의군(和義君), 이영(李瓔)·최영손(崔泳孫)·김옥겸(金玉謙) 등이 금성대군의 집에서 활쏘기를 하고도 이를 숨겼다는 이유로 고신을 거둔다. 그나마 화의군은 간통을 했다는 죄라도 있었으나, 금성대군은 대신과 대간들이 죄를 밝히라는 상소를 올리면 단종은 "금성대군은 죄가 없다."라고 답하고, 그럼 신하들은 "죄가 없는데 고신은 왜 거두었습니까? 죄가 있으니 그런 거 아닙니까?"라고 반문하는 이상한 상황이 벌어졌다. 사실 그 시대에 활쏘기나 사냥을 하는 건 오늘날 골프를 치는 격이기 때문에 이미 권력을 장악한 수양 일파도 활쏘기 시합을 한 걸로 금성대군에 죄를 덮어씌우기에는 난감하였다.

 

하지만 정적 제거를 망설일 수양 일파가 아니었다. 금성대군은 결국 세종의 후궁이며 단종을 지지하던 혜빈 양씨와 그녀의 아들인 한남군, 영풍군, 문종의 사위 정종(鄭悰)과 손잡고 역모를 꾀했다는 죄명으로 경기도 삭녕(朔寧) 으로 유배당하고 만다. 금성대군이 정말 거사를 꾀했다면 그것은 수양대군을 제거하는 역 쿠데타라 하겠지만.

이 소식은 단종에게는 최후통첩이나 다름없었다. 더 이상 자신을 지지해 줄 힘이 없다는 걸 느낀 단종은 이 소식을 듣고 “내가 나이가 어리고 중외(中外)의 일을 알지 못하는 탓으로 간사한 무리들이 은밀히 발동하고 난(亂)을 도모하는 싹이 종식하지 않으니, 이제 대임(大任)을 영의정(領議政)에게 전하여 주려고 한다.”라면서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내주기로 결정한다. 이 전교에 수양대군과 신하들은 명을 거두어달라고 청하였지만, 어디까지나 쇼에 불과한 일이었다. 결국 단종은 상왕으로 물러나고, 수양대군이 왕으로 즉위하고야 만다.

세조 즉위 후 신하들은 금성대군을 더 먼 곳으로 귀양 보내라는 상소를 올리지만 세조는 처음에는 이를 거부한다.  한 번은 “유(瑜)는 본시 죄가 있는 것이 아니고, 다만 자신을 위한 계책으로 인해 약간의 과실이 있었는데, 이제 배소(配所)로 보낸 것은 그로 하여금 스스로 그 경계할 줄을 알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옛날 제왕(帝王)들의 일을 가지고 보더라도, 위징(魏徵)이 당(唐)나라 태종(太宗)에게는 일찍이 묵은 원한이 있었는데도 태종이 즉위하면서 국사를 위임해 믿었던 것이니, 이제 내가 이에 이르러서 차마 골육을 살상하겠는가? 내가 즉시 불러올리려고 하나 아직 못하고 있을 뿐이다. 경들은 다시 말하지 말라. 그 나머지 배소로 보낸 사람들도 역시 죄는 없다.”라는 전교도 내리면서까지.

이런 가운데 금성대군에 대한 제재강도는 조금씩 높아져 식량을 주되, 반찬거리는 주지 말라고 명을 내리더니, 노비와 가산, 토지를 몰수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세조 2년인 1456년, 사육신의 단종 복위운동이 실패한 직후 금성대군은 결국 경상도 순흥으로 안치(安置)당한다.

그리고 이듬해, 단종의 장인 송현수가 역모죄로 제거되면서 상왕 단종도 노산군으로 강등당하고, 강원도 영월로 유배된다. 이 소식은 순흥의 금성대군에게도 전해졌다. 어차피 자신이나 노산군으로 강등당한 단종이나 남은 운명은 하나뿐이었다. 하지만 금성대군은 이대로 순순히 죽을 수만은 없었다. 그래서 그는 마지막 거사를 계획한다.

금성대군은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을 반강제적으로 끌어들여 격문에 서명하게 한다. 그 외에도 지역 인사들을 포섭하고, 순흥부의 군사를 이끌고 영천으로 간 후, 다시 자신의 기반이 있는 안동으로 가면 병사 2,3천은 얻을 수 있으니 이를 기반으로 단종 복위를 도모한다는 것이 금성대군의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계획은 사전에 누설되어 실패하고 만다.

 <연려실기술> 등 야사에서는 순흥의 관노가 벽장에 숨어 이를 엿듣고는 금성대군의 시녀와 사귀어 격문을 훔친 뒤 한양으로 고변하러 갔는데, 이를 눈치 챈 기천(基川)(지금의 풍기)현감이 뒤쫓아 이를 뺏고 자신이 고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정사 <세조실록>의 기록은 다르다. 거사의 제보자가 순흥부사 이보흠으로 나오는 것이다. <세조실록>은 왕위 찬탈을 정당화하는 역사왜곡에 주의하며 읽을 필요가 있지만, 정말 기천현감이 거사계획의 제보자라면 그가 등장하지 않을 이유도, 굳이 이보흠을 밀고자로 왜곡할 이유도 없다는 점에서 이 부분은 야사보다는 실록을 따르는 게 좋을 것이다. <연려실기술>도 관노와 기천현감을 제보자로 하는 기록을 적으면서도, <순흥 야사(順興野史)> 에서는 이보흠이 사람을 띄워 서울에 달려가 고변을 하게하고, 이보흠이 또 이어 말을 달려 올라가 고변하였다는 기록을 함께 적고 있다.

 

거사계획이 누설되어 실패하면서 신하들은 금성대군을 사사할 것을 청하였다. 일단 세조는 거부하지만, 이런 청에 처음부터 따르는 임금도 없다. 결국 양녕대군이 이끄는 종친들까지 금성대군의 사사를 주장하고, 결국 세조는 여기에 따른다. 곧이어 송현수도 처형당하고, 이어서 '노산군(魯山君)이 이를 듣고 또한 스스로 목매어서 졸(卒)하니, 예(禮)로써 장사지냈다.'라고 <세조실록>은 기록하고 있다.

 사실은 엄흥도가 몰래 장례를 하고 도망갔다. 하지만, 이보흠의 말로도 비참했다. 사육신의 단종 복위운동 대의 밀고자 김질이 부귀영화를 누린 것과는 달리, 이보흠은 반강제적이었다고는 하지만 금성대군의 격문에 서명까지 하였기 때문에 죄를 벗을 수가 없었다. 결국 그도 유배당하였다가 의금부 도사에게 교살 당한다. 그리고 순흥부는 폐지되어 인근 고을들에 나누어져 통합 당하였다. 그리고 숙종 때 다시 설치된다.

금성대군은 숙종, 영조 때 단종이 복위되고 그를 다르던 신하들이 복권되면서 함께 복권된다. 그리고 정조 때 세워진 장릉 배식단에 배향된다. 이 곳 금성대군 신단에는 순흥부사 이보흠도 함께 배향되었다. 조선 후기의 대신 조현명이 지은 금성대군의 시장(諡狀)에도 이보흠이 아닌 관노와 기천현감을 밀고자로 적고 있었기에 이보흠은 별 논란 없이 배식단에 배향되었다.

지난 1457년(세조 3) 6월 27일에 금성대군과 순흥부사 이보흠의 제2차 단종 복위 음모가 발각되었다. 금성대군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다가 지난 1456년(세조 2) 6월에 사육신의 단종 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삭령-광주-순흥으로 이배되었다. 그런데 금성대군이 순흥으로 이배되기 전에 단종에게 동정적인 집현전 출신 이보흠이 이미 그곳의 부사로 부임해 있었다. 

금성대군을 감독할 위치에 있는 부사가 오히려 한 통속이었던 셈이다. 세조 측근들이 이들의 공모를 조장한 뒤 일망타진하려는 작전을 미리 짜 놓은 것이 아닌가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울진군, 경상북도 소방본부,부산국토청 119산불특수대응단건립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대형산불 대응력 확보를 위한 재난대응인프라 구축울진군…

울진군 북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마음담은 김치반찬』나눔울진군 북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전극중, 전도중)는 지난 27일 관내 취약계…

울진남부아카데미 주말체험활동“신나는 봄소풍,어울림 운동회”울진군(군수 손병복)은 지난 23일 울진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센터장 이동영) 남…

영주선비도서관, 3월 문화가 있는 날 행사 풍성음악공연‘미술관에 간 윌리’대성황경상북도교육청 영주선비도서관(관장 김영규)은 27일 3월…

도촌초, 1학기 학부모 교육과정 설명회 개최!참여와 소통으로 하나 되는 교육과정 설명회 개최 도촌초등학교(교장 김춘희)는 3월 27일(…

『질문이 넘치는 교실』교사 역량 강화 연수봉화초등학교 개념 기반 교육과정 수업 설계 연수 실시봉화초등학교(교장 강성호)에서는 3월 26…

도촌초, 학부모 식생활 메이커 연수 실시!건강한 식생활과 가족 유대감 강화를 위한 식생활 메이커 연수 개최도촌초등학교(교장 김춘희)는 …

2024학년도 1학기 학교폭력예방 및어울림 교육 주간 운영책으로 친구 사랑을 느끼고 마음을 전달해요.법전중앙초등학교(교장 김지철)는 3…

시와갤러리

1인생 뭐 있나 -박정환

인생 뭐 있나일출동해 동이트니일락서산 해가지네인생고개 굽어보니만리장파 출렁이네 우리인생 뭐 있겠나알몸으로 왔었는데아옹다옹 바둥바둥부질없는 우리인생한세월이 길고기나인생갈길 짧디짧네빈손으로 가는인생탐욕말고 노저의세-박정환(전, 안동보훈지청 보훈과장)…

2눈 내리는 소백산에서-박정환

눈 내리는 소백산에서눈 내리는 봉우리에 바람이 잠을 자니우리 님 가신 곳에 까마귀 지저귀네눈 덮힌 가로수가 정겹게 한들 하니신작로 님 자취 내 마음 휘어잡네 소백산 자락길 구비돌아 열두 자락풀 내음 산 내음 향연처럼 피어나네새소리 물소리 옷깃 속에 묻어나니소백의 끝자락 추억으로 남기자네-박정환(전, 안동보훈지청 보훈과장)…

독자기고

1“도민에게 신뢰받는 청렴한 경상북도의회”

“도민에게 신뢰받는 청렴한 경상북도의회”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4일 전국 92개 지방의회(광역의회 17개, 기초의회 75개)의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필자가 의장으로 있는 경북도의회는 광역의회 중 유일하게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1등급을 달성했다. 제12대 경상북도의회가 개원하고 지난 1년간 청렴한 경북도의회를 만들고자 한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 같아 기쁘고 자랑스럽기 그지 없다. 예로부터 오늘날까지 공직자에게 ‘청렴’이란 덕목은 끊임 없이 요구되어 왔다. 사회와 국가가 발전함에 따라 이권에 따른 이익의 양상도 다양…

2나 먼저 실천으로 겨울철 화재 예방합시다!

나 먼저 실천으로 겨울철 화재 예방합시다!발밑에 나뒹구는 낙엽과 쌀쌀하게 부는 바람은 가을을 지나 어느덧 겨울이 우리 앞에 성큼 다가옴을 느끼게 한다. 추워지는 날씨로 인해 난방기구와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고, 전국 각지에서 크고 작은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화재 발생 위험이 다른 때보다 매우 높다.경상북도에서는 최근 5년 겨울철 동안 5,611건의 화재가 발생하였고, 인명피해 총 390명, 재산피해 735억원이 발생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나타내어 겨울철 화재 예방이 시급한 실정이다.이에 매년 영주소방서에…

3생명을 살리는 두손!! 심폐소생술

생명을 살리는 두손!! 심폐소생술요즘 같이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심뇌혈관 이상이 가장 많은 시기이다.평소 고혈압 환자 및 혈관이 약해진 노년층은 심혈관 질환 그중에서도 심정지를 주의해야 한다. 급성심정지 환자가 우리 주변에서 발생 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심정지 직후 4분 이내 CPR(심폐소생술) 시행이다. CPR은 심장 기능이 멈춘 환자에게 흉부압박, 인공호흡, 제세동 등의 응급처치 과정을 통해 심장과 뇌에 혈액을 순환시켜 심장 기능 회복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응급처치이다. 생명을 살리는 4분, 이는 심정지 환자를 살…